‘합천 해인사 백련암, 홍련암’ 소장 불교경전 4건, 경상남도 문화유산 지정 예고

최성룡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1 12:24:47
  • -
  • +
  • 인쇄
- 성철스님이 소장했던 국내 유일본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
- 고려시대 불경의 전통을 계승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
[세계타임즈=경남 최성룡 기자]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21일「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와「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을 도 유형문화유산으로,「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 및 조동오위요해 합부」와「합천 해인사 백련암 불설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 권 제12」를 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했다.


이 중 합천 해인사 백련암 소장 불교 경전 3건은 조계종 종정과 해인총림의 초대방장을 지낸 성철스님(1912~1993)이 소장하고 있던 것이다. 

▲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는 중국 당나라 말기 선승(禪僧) 동안상찰이 지은 십현담(十玄談)을 조선전기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이 간략히 풀이해「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를 지었고 이것을 한글로 풀어 놓은 언해본이다.


*십현담(十玄談) : 10가지 게송(부처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양하는 노래)으로 선시(禪詩)의 일종.

1548년(조선 명종 3)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에서 간행했다. 국가가 설립한 불경 한글 번역 출간 기관인 간경도감(1461~1471) 폐지 이후의 인쇄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특히, 현재까지 동일본이 확인되지 않은 유일본으로서 희소성 측면에서도 그 가치가 높아 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했다.  

▲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 및 조동오위요해 합부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및 조동오위요해(曹洞五位要解) 합부」는 조선전기 김시습이 저술했다. 부처의 공덕을 기리는 선시(禪詩)인 ‘십현담’을 쉽게 풀이한 ‘십현담요해’와 중국 선종의 일파인 조동종(曹洞宗)에 관한 내용을 해석한‘조동오위요해’의 합본(合本)으로 15세기 조동종의 사상 경향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지만 양호하지 않은 보존상태 등으로 인해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됐다.
▲ 해인사 백련암 불설관정발제과좌생사득도경

「합천 해인사 백련암 불설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 권제12」(佛說灌頂拔除過罪生死
得度經 卷第12)는 고려 고종 30년(1243년) 대장도감(1236~1392)에서 간행한 고려대장경판을 인출한 것으로, 종이 질과 인쇄상태를 통해 조선시대 인경본으로 추정된다.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후대에 수리가 이뤄진 점 등을 고려해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됐다.


*불설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 : 부처가 주는 진언을 읽고 외우면 온갖 재난과 고통에서 벗어나 영원한 안락을 누릴 수 있다는 설법의 내용이 담긴 경전

▲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

「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은 해인사 주지와 조계종 총무원장을 지낸 지관스님(1932 ~ 2012)의 소장품이다. 통상 ‘금강경’이라 불리는 대표적인 불교 경전이며 조선 명종 19년(1564) 황해도 구월산 패엽사에서 간행했다.

상단에 그림을, 하단에 본문을 기술했으며, 고려시대의 전통을 이어받아 고려시대본과 구성 형식과 내용이 거의 같다. 변상도와 함께 장마다 삽화가 수록된 판화본으로 희소성이 높고 불교사나 미술사적으로도 가치가 있어 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했다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한「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와「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 등 문화유산 4건은 30일의 예고 기간 중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정곤 경남도 문화체육국장은 “이번 지정 예고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충분히 밝혀진 문화유산을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해 보존·관리하기 위한 절차”라며, “앞으로도 도내 우수한 문화유산을 계속해서 발굴해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경상남도 문화유산 지정 예고 대상 목록

 

종 목

문화유산명

수 량

소유자 및

관리자

비고

경상남도 유형

문화유산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

(陜川 海印寺 白蓮庵 十玄談要解諺解)

1권 1책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백련암

 

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

(陜川 海印寺 紅蓮庵 金剛般若波羅密經)

1권 1책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홍련암

 

경상남도 문화유산

자료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 및

조동오위요해 합부

(陜川 海印寺 白蓮庵 十玄談要解

및 曹洞五位要解 合部)

2편 1책

(합본)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백련암

 

합천 해인사 백련암 불설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 권제12

(陜川 海印寺 白蓮庵 佛說灌頂拔除過罪生死得度經 卷第12)

1권 1첩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백련암

 

[저작권자ⓒ 강원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