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화재 취약 지역에 소화기와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해줌으로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해도 신속히 진압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주택용 소방시설의 설치율은 선진국에 비해서 매우 낮은 편이며 설치필요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 낮습니다.
소화기는 화재 초기에 웬만한 소방차 1대와 맞먹는 위력을 발휘합니다. 필히 가정에 비치하되 사용가능한 곳에 비치해야하며 유효기간을 확인해서 제때 교체해줘야 합니다.
그 외에도 소방서와 센터에서는 매일 2회씩 주·야간 소방 순찰을 실시하여 대형화재취약대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사전에 확인하고 조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일선 소방서 자체적으로 하고 있는 조치들입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들이 화재 및 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조기에 빠른 신고를 통해 화재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일례로 겨울철에는 종종 공사현장에서 검은색 연기가 나온다고 출동을 나가게 됩니다. 아파트나 상가 공사장 콘크리트 양생 작업 시 갈탄을 사용해서 하게 되는데 그때 양생 작업을 하는 공사장 건물 안에서 연기가 나오게 됩니다. 원래 연기가 나지 않는 연료를 사용해서 해야 하지만 가격이 저렴한 갈탄을 많이 사용합니다.
현장 도착 후 드는 생각은 시민들이 맞은편 아파트에서 혹은 차를 타고 가면서 연기를 보고 신고를 하는데 그만큼 시민들이 신고에 대해서 부담감이 없다고 생각하니 이러한 신고정신은 꼭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안타까운 인명이 희생된 밀양 세종병원 화재에서 초기에 소화기로 자체 진화를 시도한 것은 좋았지만 소화기로 진화를 하면서 동시에 119로 신고전화를 했다면 그렇게 큰 인명이 희생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우리 전 국민 한명 한명이 화재지킴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화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상황을 보게 된다면 지체 없이 지역 소방서나 119긴급전화로 신고해준다면 큰 화재로 발전하기 전에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저작권자ⓒ 강원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