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에게 한국보훈의료공단이 제출한 최근 5년간 구입의료장비 활용실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기준 활용률 50% 미만 의료장비가 17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률 50% 미만 의료장비 17개 장비의 구입 당시 비용을 살펴보면, 전체 구입 금액은 약 20억 9백만 원이고, 대당 3억 3천만 원이 넘는 고가의 장비부터 5천만 원 정도의 장비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활용률이 가장 저조한 의료장비는 광주보훈병원 영상의학과 고주파열치료기로 장비를 신청한 전문의가 퇴사하면서 22년 상반기 활용실적은 ‘0’건으로 전무했다.
해당 장비가 담낭암 치료애 쓰이는 중요한 장비임에도 다룰 수 있는 전문의가 없어 제대로 활용도 못하고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의가 퇴사하여 생긴 진료 공백으로 의료장비 활용이 부진한 경우는 더 있다.
부산보훈병원에서는 안과 전문의 퇴사로 각막곡률반경 측정기와 백내장 수술기 활용률이 각각 9.2%와 3.3%에 그쳤고, 정형외과 전문의 퇴사로 관절경 시스템 활용률도 40%에 그쳤다. 이외에도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치료 및 수술연기 등으로 이비인후과 내시경시스템 활용률이 11.1%에 그치기도 했다.
광주보훈병원의 전문의 퇴사에 따른 의료기기 활용실적 부진은 더욱 심각한테, 안과 전문의가 퇴사하여 시야계 장비, 망막전위도 측정기 활용률이 각각 11.7%와 1.5%에 그쳤고, 소화기내과 전문의 퇴사로 ‘21년 109.2%를 기록한 초음파내시경시스템 활용률이 ’22년 상반기에는 10%로 뚝 떨어졌다.
또한 정형외과 전문의 퇴사로 관절경시스템 활용률이 ‘21년 105.0%에서 22년 상반기 25.8%로 급감했고, 내과 계열 전문의 퇴사로 인한 오더 감소로 결핵균배양기 활용률도 ’21년 상반기 80.1% 에서 ‘22년 상반기 48.5%로 감소했다.
이밖에도 중앙보훈병원의 경우 코로나19 전담병원 지정에 따른 병원 운영 축소로 인해 21년 하반기 신규도입된 재활치료 관련 장비 활용률이 2.5%로 극도로 저조했다.
송석준 의원은 “장비가 있어도 못쓰는 어처구니없는 사례를 막기 위해 실적부진 의료장비 활용방안을 적극 강구하고, 전문인력 유출에 따른 진료 공백을 줄여 국가유공자, 참전용사, 상이군경 및 보훈가족에 대한 진료와 치료에 최선을 다해 보훈가족에 대한 예우에 부족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강원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