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중독 유행에서 가장 흔한 원인은 아픈 조리종사자로부터의 감염병 병원체 전파
- 식품의 올바른 보관과 조리뿐만 아니라 다빈도 위험 요인을 고려한 식중독 관리 필요
- 시, 9월 23일 개최하는 심포지엄을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식중독 관리 방안 소개 [서울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서울시가 오는 23일(화) 14시,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후생동강당에서 ‘2025 감염제로 조리환경 심포지엄’을 열고, 식중독 예방·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아픈 조리종사자 관리 등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천 해법과 과학적 근거 기반의 식중독 예방 전략을 공유한다.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함선옥 교수(주식회사 케이푸드인랩 대표)와 한국이콜랩 윤소라 과장이 식중독 예방·관리의 이론적 배경에 관해 설명하고, 아라마크 코리아 이진아 이사가 식중독 우수 예방·관리 사례를 소개한다.
이번 행사는 음식점 및 식품 기업 관계자, 식품위생 전문가, 식품·영양 전공 학생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참석 희망자는 22일(월) 자정까지 서울시 누리집(https://shorturl.asia/ML0pQ)의 QR코드를 통해 사전등록을 해야 한다.
서울시는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식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알리고, 시민 먹거리 안전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본격화한다.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식중독) 발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식중독 집단발생률은 미국보다 3.5배, 영국보다 14.2배 높아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시는 작년부터 효과적인 식중독 예방·관리를 위한 교육·홍보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식중독 발생 원인으로는 일반적으로 식품의 보관·조리 과정에서의 위생 문제가 지목되곤 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픈 조리종사자로부터의 병원체 전파가 식중독 원인의 40~6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밝혀졌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와 식품의약국(FDA) 역시 이를 줄이기 위한 관리사업을 지속해 왔으며, 식품의약국(FDA)에서는 2005년부터 음식점에서 아픈 조리종사자를 관리할 수 있는 내부 지침 수립 및 운영을 권고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미국 음식점은 이러한 지침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조리가 완료되어 섭취를 앞둔 음식의 경우, 조리를 마친 후 먹을 때까지 깨끗한 위생장갑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취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서울시가 올해 실시한 ‘서울시 음식점 감염관리 현황조사’ 결과, 전체 음식점 400곳 중 아픈 조리종사자 관리 지침을 보유한 음식점은 17.3%(69곳)로 작년(10.3%)보다 증가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다. 이에 시는 음식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아픈 조리종사자 관리 지침을 지속적으로 배포해 나갈 예정이다.
서울시 음식점의 21.5%(86곳)에서 아픈 조리종사자를 조리 업무에서 배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감염병을 전파할 수 있는 아픈 조리종사자가 조리 업무에 참여하는 비율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서울시 음식점의 36.8%(147곳)에서 몸이 아플 때 유급 휴가 또는 병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돼, 아픈 조리종사자를 조리 업무에서 배제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의 조성도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시는 음식점 조리환경에서 식중독 전파 위험을 낮추기 위해 ‘서울형 감염제로 조리환경 컨설팅’ 사업도 진행 중이다. 식품안전 전문가가 직접 방문하여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참여를 원하는 음식점은 신청양식(https://forms.gle/86hrmnrVxKbJivNs5)을 작성 후 제출하면 된다. 관련 문의는 이메일(sidrec2133@gmail.com)로 가능하다.
송은철 서울시 감염병관리과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시민이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걱정 없이 외식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음식점과 기업, 관련 전문가들이 적극 참여해 안전한 조리문화 확산에 함께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강원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